top of page
mdw magazin1.png

이선옥 박사

  • Facebook Social Icon
  • Instagram Social Icon
  • YouTube Social  Icon
  • Twitter Social Icon

- 교육자 -

 

 

Dr. Sun Ok Lee의 이력서

 

개인 정보:

  • 성명: 이선옥

  • 출생지: 서울, 대한민국

Dr. Sunok Lee는 예술가들의 성공적인 경로를 설계하는 전문가입니다. 젊은 음악가들이 진로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사전 준비하고, 그들이 성공적인 경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젊은 음악가들은 종종 수년 간의 훈련에도 불구하고, 처음 계획했던 경로와는 다른 현실에 부딪히곤 합니다. 하지만, 이제 그들은 필요한 모든 도구와 전략을 통해 자신만의 경로를 정확하게 설계하고 성공적인 미래를 열 수 있습니다.

직업 세계로의 진입은 더 이상 막막하지 않습니다.
이선옥 박사의경험과 학문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예술가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도전과 기회를 철저히 분석하여, 그들이 꿈꾸는 경로를 따라갈 수 있도록 완벽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반복되는 실수와 행동 패턴을 피하고, 자기 관리만으로도 경력 성공을 이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제, 당신의 음악 경로를 자신 있게 이선옥 박사와 함께 계획하세요.
젊은 음악가들이 직업적 성공을 위한 준비를 하고, 경력 관리, 자기 홍보, 네트워킹 등을 통해 더욱 큰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모든 것이 한 곳에서 이루어집니다. 지금 바로 당신의 음악 경로를 재정립하고, 성공의 첫 걸음을 내딛으세요!

이 모든 것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강의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젊은 음악가들은 자기 관리와 경력 개발의 핵심을 배우고, 그들의 경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을지 배울 것입니다.

예시: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심포지엄
"졸업 후, 성공적인 음악 경로를 위한 첫걸음은?"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강의 2023

"졸업 후, 성공적인 음악 경로를 위한 첫걸음은?"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강의 2023

"젊은 음악가를 위한 자기 관리 소개" –

경력 계획으로 가는 길

"the JAM MUSIC LAB 사립대학교" 강의 2022

"젊은 음악가를 위한 소셜 미디어 소개 –
자기 홍보의 길"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강의 2021

"젊은 작곡가 및 사운드 엔지니어를 위한
자기 관리 소개" – 경력 계획으로 가는 길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심포지엄
"졸업 후, 성공적인 음악 경로를 위한 첫걸음은?"


강의 2018

  • 오스트리아 음악협회의 심포지엄,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학생회와 협력

  •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2017년 워크숍 '젊은 음악가를 위한 자기 관리'
    (작곡가를 예로 사용)

  •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의 커리어 센터 주최, 학생 및 졸업생을 위한 행사
    "젊은 음악가를 위한 소셜 미디어 소개 – 자기 홍보의 길"

 

소셜 미디어 및 인플루언서 활동:
 

블로거 및 인플루언서 (2020년부터)
Dr. Sun Ok Lee는 2020년부터 블로거이자 인플루언서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 문화와 음악을 홍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녀는 인스타그램의 제휴 프로그램과 유튜브의 파트너 프로그램에 가입하여 광고 수익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링크드인과 페이스북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젊은 음악가들을 위한 교육 (2005년부터)
 

  • 비엔나 음악 및 공연 예술대학교, 비엔나 시립대학교 음악 및 예술사립대학, 취리히 예술대학교 입학 시험 준비 지원

 

언어:
 

  • 한국어

  • 영어

  • 독일어
     

Executive Summary

비엔나 국제 베토벤 피아노 콩쿠르 프로젝트 메니즈먼트 및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mdw)

대한민국 한국문화원
음악 고문 및 비엔나 한국문화원 앙상블 코레 예술 감독 (2023/24)

대학교 강의

o ‘젊은 음악가를 위한 자기 관리 소개 – 경력 계획의 길’ 강의,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2022)

o ‘the JAM MUSIC LAB 사립대학교, 젊은 음악가를 위한 소셜 미디어 존재 소개 – 자기 마케팅의 길’ 강의 (2022)

o ‘젊은 작곡가 및 사운드 엔지니어를 위한 자기 관리 소개 – 경력 계획의 길’ 강의,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2021)

o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심포지엄 "졸업 후, 성공적인 음악 경로를 위한 첫걸음은?" 강의 (2018)

o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커리어 센터 주최 워크숍: ‘젊은 음악가를 위한 자기 관리’ (2017)

o 비엔나 국립 예술대학교, 비엔나 시립대학교 음악 및 예술사립대학, 취리히 예술대학교 입학 시험 준비 지원 (2005년부터 현재까지)

솔로 바이올리니스트로서의 공연

o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외교 관계 130주년 기념’ 행사에서 ORF 방송 프로그램 ‘Silvia kocht’에서 공연,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관을 대표하여 (2022)

o K-Pop TV 프로그램 ‘I Can See Your Voice’에서 공연, 한국에서 1800만 명의 시청자 앞에서 (2022)

o ORF 방송 프로그램 ‘Silvia kocht’에서 공연,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관을 대표하여 (2021)

o 크로스오버 장르의 다양한 공연에서 'Korea Lee'로 공연 (2010년부터 현재)

o 클래식 장르에서 'Sunok Lee'로 공연 (콘서트, 페스티벌) (1995년부터 현재)

• 소셜 미디어 전문가

o 브랜드 ‘Korea Lee’의 소셜 미디어에서의 수익화 (YouTube, Instagram, Facebook, LinkedIn) – YouTube 및 Instagram의 파트너 프로그램 및 제휴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블로거 및 인플루언서로서의 활동 (2020년부터 현재)

o Korea Lee 브랜드 개발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대학교 200주년 기념 전시 ‘Changing mdw - Sound Worlds and Their Construction’에서 전시됨) (2010년부터 현재)

o ZDF 및 SWR 방송의 ‘교육과 학습’ 주제 관련 토론 초청 및 ORF 방송 프로그램 ‘Silvia kocht’에서 인플루언서로 참여 (2021)

• 교육 및 문화 관리

o 박사 (PhD) 취득, Dr. Phil. (2019)

o 박사 논문 제출 및 출판: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대학교에서 ‘여성 바이올리니스트의 경력 경로: 클래식과 팝 비교’ (1차 지도교수: Univ.-Prof. Dr. Harald Huber, 2차 지도교수: Univ.-Prof. Dr. Alfred Smudits). 음악가들의 경력 경로에 대한 질적 인터뷰 진행 및 분석 (2018)

o 비엔나에서 대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유럽 오디션 조직 및 지휘자 James Judd의

개인 어시스턴트 역할 (2018)

 

 

Scientific Work

Dissertation by Sunok Lee | Doctoral Thesis in Music Management

Career Paths of Female Violinists – A Comparison Between Classical and Pop Music

​​

Abstract:

The dissertation treats career paths of artists with special consideration of factors that influence positively or negatively the entrance into professional life as a musician. Foremost in consideration are graduates of the Vienna University of Music and Representative Art, female violinists in particular. Despite hopes aspired to at the start of a course of study, a professional path often fails to open up or reveal itself, regardless of the many years of education. 

The dissertation makes central use of the transcription and evaluation of interviews both of musicians who have reached their career aims and of graduates whose original career aims could not be realized. The interview script concentrates on the one hand on the education and the career start, and on the other hand on the support structure and strategies which ought to bring about success in a career.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career realm of “classical” is compared to that of “pop”. Furthermore, conversations with other area experts are conducted (management, agents, producers, directors, ...) and analyzed. 

 

 

The dissertation additionally provides focus on gender aspects. From perspectives of feminist theory and also in conjunction with Korean literature, the dissertation considers how gender affects the female musician’s career. What disadvantages young artists must expect and which strategies women must employ in particular in order to bring about a sustainable career. In treating this topic, critical examination of questions like “decision criteria of ‘gatekeepers’” and “role of ‘sex-appeal’ as aspect of performance” is conducted. 

A further area of scientific study and analysis in the dissertation involve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a diary of the author. The diary elaborates her experiences at competitions with respect to strategies used to market her personality as an artis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 also allows discussion of possible career niches in musical-stylistic terms. After all, alongside the classical repertoire young female violinists also have available realms such as chamber music, old music, new music, and crossover with rock and jazz. 

 

 

학술 연구

이선옥 박사 논문 | 음악 경영 박사 논문

여성 바이올리니스트의 경력 경로 –

클래식과 팝 음악의 비교

​​

초록:

이 논문은 예술가들의 경력 경로를 다루며, 특히

음악가로서의 직업 세계 진입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살펴봅니다.

주로 비엔나 음악 및 공연예술대학교 졸업생들,

특히 여성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주요 연구 대상

입니다. 학업을 시작할 때 기대했던 진로가, 많은

교육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제대로

열리지 않거나 예상만큼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본 논문은 경력 목표를 달성한 음악가들과 원래의 경력 목표를 실현할 수 없었던 졸업생들의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고 평가하는 방식을 중심으로다룹니다. 인터뷰 질문지는 교육과 경력 시작 부분에 중점을 두는 한편, 성공적인 경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지원 구조와 전략들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이와 함께 ‘클래식’과 ‘팝’ 경로를 비교하며, 관리, 에이전트, 프로듀서, 감독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의 대화도 진행하고 분석합니다.

이 논문은 또한 성별 차이에 대한 요소를

집중적으로 다루며 여성주의 이론과 한국 문학과의 연계를 통해 성별이 여성 음악가의 경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합니다. 젊은 예술가들이 겪을 수 있는 불리한 점들과, 여성들이 지속 가능한 경력을 위해 특별히 필요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주제를 다루면서 ‘게이트키퍼들의 결정 기준’과 ‘공연에서 성적 매력의 역할’ 등과 같은 문제를 비판적으로 살펴봅니다.

논문에서 또 다른 중요한 연구 영역은 저자의

경험 기록에서 나온 질적 분석입니다. 이 기록은 저자가 경연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예술가로서 자신의 개성을 마케팅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을다룹니다.

이 연구의 질적 분석은 음악 스타일 측면에서

가능한 경력 틈새 시장에 대한 논의도 가능하게

합니다. 결국 클래식 레퍼토리 외에도 젊은 여성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접근할 수 있는 분야로는

실내악, 고음악, 현대 음악, 그리고 록과 재즈와의 크로스오버 등이 있습니다.

Contact

문의

경영진에게 보내는 메시지:

Ihre Angaben wurden erfolgreich versandt.

© 2025 by Management Korea Lee - 문화예술원. 모든 권리 보유

Impressum       Datenschutzerkläru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