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선옥
- 클래식 바이올리니스트 -
한국 민속 음악의 현대적 해석
코레아 의 신부
-요제프 바이어 작곡, 이선옥 박사 해석-
코레아 의 신부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수교 130주년을 기념하여, 저는 거의 잊혀져 가던 발레 작품 <한국의 신부>에서 '사랑의 여신 왈츠'를 연주할 수 있는 영광을 가졌습니다. <코레아 의 신부> 발레는 120년 이상 전, 한국을 오스트리아 문화계에 소개한 첫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무대 작품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저는 그 당시 대부분의 유럽인들에게 한국은 알려지지 않은 나라였음에도 불구하고, 요제프 바이어(음악), 요제프 하스라이터(안무), 하인리히 레겔(스토리)이 한국 문화와 그 당시 한국의 상황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이런 발레 작품을 비엔나 무대에 올릴 수 있었다는 점이 매우 매력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발레는 당시 그 음악, 이야기, 안무로 큰 언론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몇 년 전, 오스트리아 외교관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테그는 그의 한국 여행 경험에 관한 책을 출판했습니다. (‘Korea, A Summer Journey to the Land of Morning Calm’ 1894). 그의 아내는 오페라 가수였으며 비엔나 궁정 오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습니다. 발레의 대본 작가 중 한 명인 하인리히 레겔은 헤세-바르테그의 책이 출판된 지 1년 만에 <한국의 신부>의 첫 번째 이야기를 썼고, 이 대본은 2년 후 완성되었습니다. 그 후 요제프 바이어가 해당 음악을 작곡했습니다. 이 작품은 매우 정교하고 비용이 많이 들었습니다. 동양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무대에 올리기 위해, 매우 정교하고 다채로운 동양적 인상들이 제작되었습니다. 그 당시 평론가들은 이 작품을 매우 높게 평가했으며, 관객들은 이 작품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비엔나 왈츠와 이국적인 소리, 두드러진 간격, 그리고 이국적인 리듬과 화음의 융합은 이 작품을 매력적으로 만듭니다. 특히 요제프 바이어가 한국을 한 번도 방문한 적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놀랍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음악 속에 제가 한국을 인식할 수 있는 구절들을 만들어냈습니다.
이야기의 핵심은 한국의 왕자와 하녀 다이샤의 사랑 이야기입니다. 1894/95년의 청일 전쟁 중 왕자는 자신의 나라를 방어하기로 결심합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결혼을 해야 했기 때문에, 그는 항구에서 만난 여인 다이샤와 급히 결혼합니다. 다이샤는 왕자가 전쟁 포로로 처형될 위기에 처했을 때 그의 생명을 구합니다. 그들은 한국으로 도망쳐 결혼식을 올리게 됩니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주인공이 사실 여성인 사랑 이야기입니다. 이는 그 당시를 한참 앞선 것으로, 오늘날 더 잘 맞아떨어지는 이야기입니다.
이 작품은 초기에는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결국 무대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 원인은 정치적인 이유였습니다. 발레 중 일본의 승리 축하 장면이 있었고, 그 당시 일본과 러시아의 관계가 매우 긴장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오스트리아 외무장관은 외교적 조치로 이 작품을 철회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일본에 대한 반발과 시위의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작성자: 이선옥
바이올린을 위한 삶
한국의 솔로 바이올리니스트인 이선옥 은 뛰어난 기법, 섬세한 음색, 그리고 감동적인 해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난 이선옥 박사는 13세에 바이올린을 시작하였고, 이후 비엔나 국립음악대학교에 입학하여 클라우스 매첼 그리고 미하일 프리셴슐라거 교수님 두분에게 바이올린을 전공하며 연주 전문화를 마쳤습니다.
그녀는 여러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을 했고, 해외와 유럽 전역에서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음반 녹음, 오케스트라와의 솔로 공연 및 실내악 연주를 포함한 다양한 무대에서 활약했습니다.
이선옥 은 다재다능하고 감성적인 리사이틀리스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의 방대한 레퍼토리에는 소나타뿐만 아니라 바이올린 연주의 위대한 걸작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내악 연주자로서 이선옥 박사는 수많은 뛰어난 예술가들과 협업해 왔습니다. 그녀의 콘서트 투어와 음악적 협업은 이선옥 연주자를 모나코, 일본,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스페인,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한국 등지로 이끌었습니다.
그녀의 음악적 발전은 자카르 브론, 파벨 베르니코프, 블라디미르 스피바코프, 클라우스 매첼, 그리고 세계적인 지휘자 마에스트로 리카르도 무티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습니다.